추석특집>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
지역마다 약간씩 달라도 기본은 대동소이하며, 어동육서·두동미서 등 원칙이 있어...
추석차례상./연합뉴스 |
차례는 추석 명절에 가장 중요한 행사 중 하나다. 추석에는 조상께 수확에 감사하는 마음을 전하는 뜻을 담아 설과 달리 흰 떡국 대신 햅쌀로 밥을 짓고 햇곡식으로 송편을 만든다. 그러나 차례상 차리는 방법이나 차례 지내는 방법은 간단치만은 않아 매번 헷갈리고 당황하기 십상이다. 차례상은 지역마다 특산물을 올리거나 집안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먹거리가 발달한 전라도는 잔치나 경사 때 빠지지 않고 홍어가 등장하는데, 차례상도 예외는 아니다. 이 외에도 낙지나 병어 같은 해산물도 올린다. 다른 지역과의 접근성이 뛰어난 충청도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이 차례상에 올라온다. 호남 지방과 인접한 지역에서는 홍어나 병어 등이 올라오고, 경상도와 가까운 곳에서는 대구포와 상어포 등의 해산물이 많이 올라온다.
바다와 먼 내륙 지방은 배추전이나 무전 등의 부침류를 주로 올린다.산간 지방인 강원도는 나물, 감자, 고구마를 이용한 음식을 많이 올리며, 제주도는 옥돔이나 전복은 물론이고 귤이나 파인애플 같은 과일도 올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바다와 가까운 경상도는 제사상에 해산물이 많이 올라간다. 조기 뿐만 아니라 방어, 민어, 가자미 등의 여러 생선과 어패류가 올라간다.특히 경북 지역은 상어고기를 산적으로 올리고, 안동에는 안동식혜가 꼭 올라간다.
이처럼 각 지역마다 차례상에 올라가는 음식은 다르지만 기본적인 진설(陳設:상차림)법은 지켜야 한다. 조상께 예를 올리기 위한 일인 만큼 올바른 방법으로 상을 차리는 게 중요하다.
먼저, 차례상은 신위(神位, 지방)가 놓인 곳을 북쪽으로 해야 한다. 제사를 지내는 사람(제주)의 편에서 차례상을 바라봤을 때 신위의 오른쪽은 동쪽, 왼쪽이 서쪽이다. 차례상은 음양오행설에 따라 해가 뜨는 동쪽은 양, 해가 지는 서쪽은 음의 방향이다. 생선을 놓을 때는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를 서쪽으로 두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차례상의 기본적인 차림은 5열로 나눈다.
1열에는 시접(젓가락), 술잔, 송편을 올린 뒤 밥은 왼쪽, 국은 오른쪽인 ‘좌반우갱’에 따라 놓는다.
2열은 전과 적을 놓는 자리로 ‘어동육서’에 따라 서쪽에서부터 육적(고
기적), 소적(두부, 채소류적), 어적(어류적), 편, 생선 등을 차례로 올린다. 생선을 놓을 때는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놓는 ‘동두서미’에 따라 배열한다.
3열은 탕을 놓는 곳으로 육탕, 소탕, 어탕 순으로 놓는다. 촛대는 신위와 함께 첫번째 줄에 놓는 것으로 착각하기 쉬운데 세번째 줄 양 끝에 놓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열은 ‘좌포우혜’ 원칙에 따라 왼쪽에는 포, 오른쪽에는 식혜를 올리고 그 사이에는 나물, 김치등을 놓는다. 어포를 쓸때는 배를 아래로 등을 위로 놓는다.
5율은 ‘조율이시’에 따라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 순으로 과일을 올려준다. 이때 붉은 과일은 동쪽, 흰색과일은 서쪽으로 놓는 홍동백서를 따라준다.
주의할 점은 붉은 살 생선과 ‘치’자가 들어가는 생선은 사용하지 않는다. 제사를 지낼때는 붉은 팥 시루떡을 쓰지만 차례상에는 붉은 팥대신 흰 고물의 떡을 사용한다. 또 고춧가루같이 붉은색은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 여겨 차례상을 올릴 때는 양념을 하지 않고 간장 대신 소금으로 간을 맞춘다.
■차례상 격언
▶반서갱동 :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놓는다.
▶고비합설 : 내외일 경우 남자 조상과 여자 조상은 함께 모신다.
▶직접거중 : 구이류는 중앙에 놓는다.
▶시접거중 : 수저를 담은 그릇은 신위의 앞 중앙에 놓는다.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에 놓는다.
▶두동미서 : 머리를 동쪽에, 꼬리는 서쪽에 놓는다.
▶면서병동 : 국수는 서쪽에, 떡은 동쪽에 놓는다.
▶배복방향 : 닭구이나 생선포는 등이 위를 향하게 놓는다.
▶숙서생동 : 익힌 나물은 서쪽, 생김치는 동쪽에 놓는다.
▶홍동백서 : 붉은색 과일은 동쪽, 흰색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동조서율 : 대추는 동쪽, 밤은 서쪽에 놓는다.
■“지방쓰는법 어렵지 않아요”
폭 6㎝, 길이 22㎝ 흰 종이에 작성
부부를 같이 쓸땐 남성 조상이 왼쪽
지방 부모 예시./네이버 |
지방 증조부모 예시./네이버 |
지방이란 제사나 차례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한다. 사당에 쓰이는 신주가 없을 때 임시로 만드는 위패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즉 고인의 이름과 사망날짜를 적은 위패인 신주(神主)를 모시고 있지 않은 집안에서 차례나 제사에 조상을 모시기 위해 임시로 이를 종이에 기록한 것이다.
차례상에 올리는 지방은 일반적으로 폭 6㎝, 길이 22㎝의 한지(백지)에 붓을 이용해 작성한다. 한지가 없다면 창호지나 일반 흰 종이도 사용할 수 있다. 지방은 한자로 쓰는 것이 전통이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쓰기도 한다. 글씨는 세로로 작성하며, 지방의 상단 모서리가 접히거나 잘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지방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자를 쓴 후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신위(神位) 순으로 쓴다. 부모님 제사의 경우 두 분이 모두 돌아가셨을 땐 하나의 지방에 부모를 같이 쓴다. 아버지는 왼쪽, 어머니는 오른쪽에 적는다. 부모님이 아닌 조상의 경우 지방에 쓸 조상이 두 분 이상이면 남자 조상을 왼쪽에, 여자 조상을 오른쪽에 쓴다.
우선 제사나 차례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에 따라 아버지는 상고할 고(考), 어머니는 죽은 어미 비(位), 할아버지는 조고(祖考), 할머니는 조비(祖位), 증조 이상에는 증(曾)자와 고(高)자를 앞에 붙인다.관계 뒤에는 직위를 적는다. 조상이 만일 벼슬을 했다면 관계 뒤에 벼슬 이름을 쓰면 된다.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남자 조상은 학생(學生), 여자 조상은 유인(孺人)이라 적는다.
이어 벼슬 뒤에 이름을 적고 남자 조상은 부군(府君)이라 쓰고 여자 조상은 고인의 본관과 성씨를 적으면 된다. 마지막으로 신위(神位)를 붙이면 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벼슬을 하지 않은 부친의 경우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로 적고, 모친(김해 김씨)은 ‘현비유인김해김씨신위(顯孺人金海金氏神位)’라고 적는다.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는 “배우는 학생으로 인생을 살다 돌아가신 아버지의 신령이시여 나타나서 자리에 임하소서”라는 뜻이다. 지방은 죽은 사람의 혼을 대신하는 것이므로 한 번 사용한 뒤 바로 소각하는 게 관례다. /김명식 기자 msk@namd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