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문헌/고증

문헌/고증

2019.08.14 21:56

완문(完文)

조회 수 2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아래 고문서는 학유공파 영천훈도공문중원들이 청호재 일대에 있던 삼림(송추)을 수호하기위해 경상도관찰사에게 진정하여 비답을 받은 일종의 증명서입니다.

 

20190802_060302.jpg

1.png

 

 

***국역***

완문(증명서)

오른쪽의 완문은 관에서 발급하는 것이다.

대구 서생원댁 선대의 분묘가 영천군 남쪽 청제동에 있는데 묘지의 송추(도래솔)를 금양(보육)한 것이 지금까지 300여년이 되었다. 비록 관부(官府)의 들에 있으나 일찍이 관아에서 베어가는 일은 없었다.

근래에 관아의 아전 무리가 조그마한 토목 공사가 있을 지라도 관아의 명을 빙자하여 편리함을 쫓아서 가깝고 쉬운 곳에서 취하여 매양 벌목을 하여 민둥산이 되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한다.

사대부가에서 누대(오래도록)로 수호하여 왔던 송추를 임의로 작벌(나무를 베는 것)하는 것은 매우 망극하고 놀라운 일이다.

지금 이후로는 해당 고을의 아전 무리가 만약에 한 그루의 소나무라도 다시 침범하여 베어가는 폐단이 있으면 본관(감영)은 송금의 법을 적용하여 특별히 잡아 엄징할 것이니 하여금 침범하여 벨 뜻이 없도록 할 것. 이에 완문(증명서)을 만들어 주노라.

 

 

을축 구월 십오일

순찰사 (수결)

 

*乙丑 : 英祖 21(1745) 慶尙監司(=道 觀察使) ; 權爀

*權爀 : 1746. 5. 12 江原 監司, 同年 11. 21 罷免

*巡察使 : 전시에 두었던 권설직(權設職:임시직)으로 각 도()의 군비 태세를 살피던 직책. 이때에는 지방의 병권을 장악하였던 종2품의 관찰사(觀察使)가 이를 겸직.

 

 

*成給(성급): 관아에서 문건을 만들어(작성해서) .

*禁養(금양): 나무 등을 베지 못하도록 금하고 가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 구암서원 묘정비명 3 file 서성태 2018.02.08 323
14 구암서원 강학 사료(史料) 1 file 서성태 2019.03.17 397
13 구암서원 서성태 2020.12.19 264
12 구계 서침 선생에 관한 대구읍지의 기록 서성태 2020.12.18 225
11 관향(貫鄕)으로 사용되는 옛 지명(地名) 정리 서일수371 2017.10.17 483
10 徐씨와 대구大丘달성達城 徐聖泰213 2021.09.24 539
9 9.大丘府減粍節目 1 file 서석훈98 2018.02.28 297
8 8.六世副丞公諱文翰事蹟 file 서석훈98 2018.02.28 210
7 7.五世龜溪先生諱沉事蹟(2) file 서석훈98 2018.02.28 202
6 6.五世龜溪先生諱沉事蹟(1) file 서석훈98 2018.02.28 184
5 5.四世鶴巖先生諱鈞衡事蹟 file 서석훈98 2018.02.28 121
4 4.三世達城君諱穎事蹟(2) file 서석훈98 2018.02.28 139
3 3.三世達城君諱穎事蹟(1) file 서석훈98 2018.02.28 136
2 2.二世達川君諱奇俊事蹟 file 서석훈98 2018.02.28 153
1 1.遠祖 達城君 諱 晉 事蹟(家傳) file 서석훈98 2018.02.28 214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