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기타자료

기타자료

조회 수 2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도산서원

 

도산서원()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유학자이자 선비인 퇴계 이황이 세상을 떠난 후 그의 제자들에 의하여 건립되었다. 현재의 도산서원은 퇴계가 생전에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며 제자들을 가르쳤던 도산서당 영역과 퇴계 사후에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지은 도산서원 영역으로 크게 나뉜다. 서원 전체 영역의 앞쪽에 자리잡은 건물들은 도산서당 영역에 속하고, 그 뒤편에 들어선 건물들은 도산서원 영역에 속한다.

도산서원 전경

도산서원 전경

도선서원은 두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서원 전체 영역의 앞부분은 이황이 제자들을 가르치며 학문을 한 도산서당 영역이고, 뒷부분은 이황 사후에 그의 제자들이 스승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도산서원 영역이다.

퇴계는 도산서당을 조영하기 훨씬 전부터 학문을 하며 제자들을 가르칠 건물을 지었다. 1546년 퇴계가 마흔여섯 되던 해에 관직에서 물러나 낙향하여, 경상도 예안 건지산 남쪽 기슭 동암()에 양진암()을 지었고, 1550년에는 상계의 퇴계 서쪽에 3칸 규모의 집을 짓고 집 이름을 한서암()이라 하였다. 그 후 전국 각지에서 제자들이 모여들자 1551년 한서암 동북쪽 계천() 위에 '계상서당()'을 짓고 제자들을 본격적으로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이곳에서 가까운 곳에는 퇴계종택()이 있다.

도산서당은 계상서당이 좁고 또 제자들의 간청이 있어 집 뒷산 너머 도산 자락에 지었는데, 도산서당이 완성된 뒤에도 퇴계는 계상서당에서 도산으로 왕래하였고, 이곳에서 별세하였다. 퇴계는 1557년 쉰일곱 되던 해에 도산 남쪽의 땅을 구하고, 1558년 터를 닦고 집을 짓기 시작하여 1560년에 도산서당을 낙성하였고, 이듬해에 학생들의 숙소인 농운정사()를 완성하였다.

도산서당터를 찾은 기쁜 심정을 퇴계는 시 몇 편으로 남겼고, 도산서당을 짓고 난 다음 해인 1561년 11월에는 「도산잡영()」을 썼다. 이 시에 붙인 '도산잡영병기()'에는 서당 주변의 경개()를 비롯하여 퇴계가 「도산잡영」을 읊은 동기 등이 서술되어 있다.

여기에서 퇴계는 "처음에 내가 퇴계 위에 자리를 잡고, 시내 옆에 두어 칸 집을 얽어 짓고, 책을 간직하고 옹졸한 성품을 기르는 처소로 삼으려 했더니, 벌써 세 번이나 그 자리를 옮겼으나 번번이 비바람에 허물어졌다. 그리고 그 시내 위는 너무 한적하여 가슴을 넓히기에 적당하지 않기 때문에 다시 옮기기로 작정하고 산 남쪽에 땅을 얻었던 것이다"라고 밝히고 있다.

도산서원 배치도

도산서원 배치도

현재 도산서당 일곽에 있는 건물로는 도산서당·농운정사·역락서재()·하고직사() 등이 있는데, 모두 간결하고 검소하게 꾸며져 퇴계의 인품을 잘 반영하고 있다. 기타 시설물과 자연 경관으로는 유정문()·열정()·몽천()·정우당()·절우사()·천연대()·운영대()·곡구암()·탁영담()·반타석()·부용봉() 등이 있는데, 이 모든 이름들은 퇴계가 손수 붙여 성리학적인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강세황의 도산서원도

강세황의 도산서원도

강세황은 도산서원이 성리학자들이 이상으로 생각하는 자연조건을 갖춘 곳에 세워졌음을 1751년 그림으로 그려 표현하였다.

도산서당은 3칸밖에 안 되는 작은 규모의 남향 건물이다. 서쪽 1칸은 골방이 딸린 부엌이고, 중앙의 온돌방 1칸은 퇴계가 거처하던 완락재()이며, 동쪽의 대청 1칸은 마루로 된 암서헌()이다. 건물을 남으로 향하게 한 까닭은 행례(), 즉 예를 행함에 있어 편하게 하고자 함이고, '재()'를 서쪽에 두고 '헌()'을 동쪽에 둔 것은 나무와 꽃을 심을 뜰을 마주하며 그윽한 운치를 숭상하기 위함이었다.

퇴계는 서당의 동쪽으로 치우친 곳에 작은 연못을 파고, 거기에 연()을 심어 정우당이라고 하였으며, 또 그 동쪽에 몽천이란 샘을 만들었다. 샘 위의 산기슭에는 평평한 단을 쌓아 암서헌과 마주보게 하고, 그 위에 매화·대나무·소나무·국화를 심어 절우사라고 불렀다. 암서헌 대청에서 정우당, 절우사를 지나 낙동강으로 경관이 이어지게 한 것은 궁극적으로 자연과 합일하려는 퇴계의 성리학적 자연관을 잘 나타낸다.

도산서원 앞뜰과 유정문

도산서원 앞뜰과 유정문퇴계는 도산서당 출입문을 싸리문으로 만들고 유정문이라고 하였으며, 주변에는 나무와 꽃을 심어 그윽한 운치가 느껴지도록 하였다.

도산서원은 퇴계가 세상을 떠나고 삼년상을 마치자 그의 제자들과 온 고을 선비들이 1574년(선조 7) 봄 "도산은 선생이 도()를 강론하시던 곳이니, 서원이 없을 수 없다" 하여 서당 뒤에 두어 걸음 나아가서 땅을 개척하여 짓기로 하면서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그 이듬해인 1575년 8월 낙성과 함께 선조로부터 '도산()'이라는 사액을 받았고, 1576년 2월에 사당을 준공하여 퇴계 선생의 신위를 모셨다.

서원으로 출입하는 정문은 진도문()이다. 진도문에 이르러 올라오던 길을 돌아서서 내려다보면, 남쪽으로 낙동강 물줄기를 가둔 안동호 일대로 시야가 넓게 펼쳐진다.

도산서원 경내의 건물로는 제향()공간을 형성하는 상덕사()·내삼문()·제기고()·주청() 등이 있고, 강학()공간을 형성하는 건물로는 강당인 전교당(동재인 박약재()·서재인 홍의재() 등이 있으며, 기타 부속 건물로는 동광명실()·서광명실(西)·장판각()·상고직사() 등이 있다. 광명실은 장서고()로 임금이 하사한 서적, 퇴계가 보던 서적과 철폐된 역동서원()에서 옮겨온 서적, 그리고 퇴계의 문도()를 비롯한 여러 유학자들의 문집을 모아둔 곳이다.

진도문

진도문

진도문은 도산서원으로 출입하는 정문이다. 진도문에서 서원앞을 내려다보면 낙동강이 흐르는 시야가 넓게 펼쳐진다.

동광명실

동광명실

진도문 좌우에 세원진 동광명실과 서광명실에는 여러 문집과 목판이 보관되어 있다. 광명실 건물은 모두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 누각식으로 지어졌다.

 

 

강학공간은 높게 조성된 기단 위에 서 있는 전교당을 중심으로, 앞마당 좌우로 동재와 서재가 마주보며 엄격한 좌우 대칭의 배치를 하여 규범을 보이고 있다. 전교당은 유생들이 자기 수양과 생도들을 교육하던 곳으로,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건물에 대청마루와 한존재()라고 이름 붙인 온돌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교당에 걸린 '도산서원' 현판 글씨는 한석봉()이 임금 앞에서 쓴 것이다. 사당인 상덕사와 사당 일곽 출입문인 내삼문, 그리고 사당 주위를 두른 토담은 모두 '도산서원상덕사부정문및사주토병()'이란 명칭으로 1963년 보물 제211호로 지정되었다.

서원 일곽 서쪽에 있는 옥진각()은 유물 전시관인데, 퇴계 선생과 관련된 많은 유물이 진열되어 있다. 도산서원은 원래 예안군에 속하였으나, 지금은 행정 구역이 변경되어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속한다. 서원 일곽은 1969년 사적 제170호로 지정되었으며, 1969년과 1970년에 대대적으로 보수되었다. 도산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 당시에도 훼철되지 않고 존속된 47곳의 서원 가운데 하나이다.

전교당

전교당

보물 제210호. 전교당은 유생들의 교육을 하던 강당 건물로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이다.

    

 

  •       

안동 도산서원

안동 도산서원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호계리에 있는 서원. 사적 제170호. 1574년(선조 7) 지방 유림의 공의로 이황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한 서원이며, 1575년 선조로부터 한석봉이 쓴 '도산'이라는 편액을 받았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도산서원 (한국 미의 재발견 - 궁궐 · 유교건축, 2004. 11. 30., 이상해)

 


  1. 서원문화의 재발견: 병산서원 소개

  2. 서원문화의 재발견: 필암서원 소개

  3. 서원문화의 재발견: 돈암서원 소개

  4. 서원문화의 재발견: 남계서원 소개

  5. 서원문화의 재발견: 도산서원 소개

  6. 서원문화의 재발견: 옥산서원 소개

  7. 서원문화의 재발견: 소수서원 소개

  8. 서원문화의 재발견: 도동서원 소개

  9. No Image 28Feb
    by 관리자
    2018/02/28 by 관리자
    Views 150 

    열녀서씨포죽도 중모기(烈女徐氏抱竹圖 重摹記)

  10. <열녀서씨포죽도>의 사연

  11. No Image 28Feb
    by 서정우184
    2018/02/28 by 서정우184
    Views 464 

    <열녀서씨 포죽도>와 화산관 이명기의 그림 세계<출처:작가 도병훈>

  12. No Image 28Feb
    by 서정우184
    2018/02/28 by 서정우184
    Views 217 

    봉화지역의 명문가 - 달성서씨(봉화일보 발췌)

  13. 고려.조선시대의 관작 및 벼슬(가나다 순)

  14. No Image 17Oct
    by 서일수371
    2017/10/17 by 서일수371
    Views 788 

    관향(貫鄕)으로 사용되는 옛 지명(地名) 정리

  15. 동양/세계사 역사연대표

  16. 왕조재위기간표

  17. 장위공 서희선생 묘소 위치도

  18. 이천서씨 시조 아간공 묘소 위치도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