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문헌/고증

문헌/고증

대구부 감모 절목은 서희순徐熹淳(1793-1857) 시숙헌공諡肅獻公께서 경상도 관찰사로 부임하시어 달성達城을 공첨恭瞻하시고 방조傍祖이신 구계공龜溪公께서 세종 때에 달성을 국가에 헌납하시고 그 보상 대신에 대구 읍민의 환곡 이자를 감해 받은 박시제중博施濟衆에 감동하시어 그 뜻을 기리고자 관찰사 직권으로 추가로 대구 읍민의 환곡 이자를 감해 주시고자 시행한 공문서 입니다.

註-숙헌공께서는 순조33년 계사(1833) 5월에 경상도 관찰사 겸 대구도호부사로 도임到任하시어 갑오(1834) 12월에 체임遞任 

-------------------------------------------------------------------

 

대구부 감모 절목

 
적모籍耗 한 섬에 일두오승一斗五升은 국내에 통하는 법례이나 오직 대구만이 일두로 감정減定한 것은 즉 우리 구계공龜溪公께서 달성을 나라에 헌납하고 세록世祿의 상을 사양하며 청원請願으로서 부중府中의 모조耗租를 삼분의 일을 감케 하여 달성민호達城民戶에 영세토록 은혜롭게 함이라. 그 공리功利의 보편하고도 구원함이 달성과 더불어 영구히 무궁하리라. 

아! 참으로 위대하고 성대함이여! 내가 방후손傍後孫으로서 본도本道에 부임하여 달성을 공첨恭瞻하니 옛 고향 상재桑梓이라 감회 새로웠다. 구암사龜巖祠=龜巖書院를 참배하니 끼친 향기와 추모의 성誠이 더하여 첨조지초忝助之初부터 급히 전공前功=龜溪公之功의 유종攸終을 생각하여 이미 감한 모조를 또 그 반을 감하여 유적遺蹟에 추보追補하노라. 또한 이 일(事)을 사리事理옵건대 남은 모조에 대하여 독력獨力으로서 마음대로 되지 않으나 본래本來의 급대給代를 세웠으니 비록 금시今時에 효력은 되지 못하나 한도를 배제하고 계획을 세워 또한 내후來後의 실상實上 혜택을 기할 것이 이 같으니 이에 팔천백량전八千百兩錢을 연출捐出하여 관하官下 각 고을에 분급分給하노라. 금년부터 비로소 십十에 삼三의 이식利息을 수收하여 매년 작미作米로 이식에 참가하면 임인壬寅에 이르러 그 양이 일만일천일백삼십오석령一萬一千一百五十石零으로서 이식조利息條가 흡사 대구오승모조大丘五升耗租와 같은지라. 계묘癸卯 이후로부터 대구이식大丘利息은 일년에 오승인 것을 영구히 감케되니 이것으로서 모조耗租에 예비한다. 각 고을 분급전分給錢을 배년排年 자식滋殖한 작곡作穀으로 모조에 대비對備의 절차 및 시행조례를 일일이 좌左에 기록하노니 여기에 의하여 영구히 준수하고 위반 없기를 후래에 바랄 뿐이라. 

갑오(1834) 5월   일  

겸사兼使 手決     도사都事

 

一. 전팔천이백량錢八千二百兩을 관하 각 고을 사람들에게 분급하여 갑오甲午로 위시 삼할三割 취식取殖하며 이조利條가 이천사백량으로서 쌀로 환산하면 팔백이십석인데 임인壬寅에 이르러서 쌀 도합都合이 일만일천일백삼십오석영零이 되니 계묘癸卯 이후는 곧 동미同米 이식조가 일천일백십삼석령零이니 대구 오승모조五升耗租의 급량給量에 가합하다. 동년同年부터 주는 모조耗租를 이것으로서 감케되니 해마다 이것으로 상례常例됨을 위정爲定한다. 당초 분급 본 전錢의 건은 공부상公簿上에 탕감되니 인하여 그 고을 사람들에게 부탁하여 다시 이식을 받지 말도록 할 것이다. 

一. 매년 작곡조作穀條를 각자 고을마다 별도로 장부를 만들고 별단別段으로 도합하여 마감하고 곡명은 대구감모급대미大丘減耗給代米라. 서하여 이 사무를 별회에 맏겨서 결산함인즉 또한 별책으로 할 것. 

一. 감모조減耗租는 오로지 백성에 돌려서 오승五升에 뒤가 차지 않는 것은 뒤를 채워서 책임하여 받고 감모년減耗年부터 오승 들이 그릇을 만들어 두고 뒤에 부족함이 없게 할 것. 

一. 제이년第二年 위시爲始하여 작년 작곡조 이식과 당년 작곡조 이식을 합하여 방출 할 것. 

一. 조례를 3부 성출成出하여 1부는 영리청營吏廳에 두고 1부는 인리人吏廳에 두고 1부는 대구본부에 출급할 것이라. 영리와 주리籌吏는 작곡 장부의 이식을 주관하고 기관記官은 본전本錢의 취식取殖을 주관하여 매년 말 결산 장부를 왕복 대조하여 서로 차오差誤가 없을 것. 

一. 감모미減耗米를 매년 비급備給하면 자연히 여유가 있을 것이니 그 중에서 십오석十五石을 제출하여 삼석식三石式 5인의 관리2인 기관2인 별주리 1인에게 지급하여 노고에 보수로 하고 여곡餘穀은 원곡元穀에 합할 것.

-------------------------------------------------------------------  

大丘府減毛節目

 

糴耗一斗五升卽 國中通行之例而惟玆大丘之減定一斗者卽我 龜溪公獻達城于 朝辭世祿之賞而請減府耗三之一以惠達民于永世者也其功利之普博悠遠與達城並峙而永垂無窮矣偉歟盛矣余以傍裔適按是道恭瞻達區桑梓興感祗拜 龜祠芬芯增慕乃自忝助之初亟思前功之攸終擬然已減之耗而又減其半追補遺蹟矣亦復事有嬴獨力不逮心立本給代雖未見目下成効排限措劃亦可期來後實惠是如乎玆捐八千二百兩錢分俵營下各邸今年爲始什三取殖每年作米添耗則至壬寅基數當爲一萬一千一百三十五石零而耗條恰與大丘五升耗相當矣自癸卯以後大丘耗一斗內五升段永減以此耗防給是矣各邸俵給錢排年滋殖作穀添耗常限防給之節及擧行條件一一開錄于左爲去乎依此永遵勿替是所望於後來云爾

甲午(1834)五月 兼使 手決 都事

錢八千二百兩營下各邸人處俵給甲午爲始十三取殖則利條爲二千四百兩而作米八百二十石至于壬寅作米都數當爲一萬一千一百三十五石零癸卯以後則同米耗條一千一百十三石零可當大丘五升耗之總同年爲始以此減耗歲以爲常是遣當初俵給本錢段蕩減於公簿因屬該邸人更勿徵利是

每年作穀條自各其邑別件成冊會磨勘一時來勘而穀名則大丘減耗給代米書塡是遣句管於別會而勘案則亦爲別冊是齊

減耗專爲還民而五升若以解升捧之則準升責捧無異一斗自減耗年爲始措置五升器捧以一器勿爲解升是齊

第二年爲始昨年作穀條並耗與當年作穀耗條合出已上是齊

節目三件成出一置營吏廳一置人吏廳一件出給大丘本府矣營吏籌吏則主張穀簿之滋殖記官則主管本錢之取殖每歲未勘簿則往復相關俾無差誤相左之弊是齊

減耗米每年防給則自有嬴餘就其中除出十五石三石式分與營吏二人記官二人別籌吏一人以答酬勞之功是遣餘石仍付元穀爲齊

 

各邸分錢分表俵甲午正月 日分俵

慶州錢壹百五拾兩

安東錢壹百五拾兩

晉州錢壹百五拾兩

尙州錢壹百五拾兩

昌原錢壹百五拾兩

永川錢壹百五拾兩

義城錢壹百五拾兩

居昌錢壹百五拾兩

金海錢壹百五拾兩

星州錢壹百五拾兩

密陽錢壹百五拾兩

蔚山錢壹百五拾兩

陜川錢壹百五拾兩

宜寧錢壹百五拾兩

禮泉錢壹百五拾兩

泗川錢壹百五拾兩

以上十六邑每年利四拾五兩作米十三石次

興海錢壹百參拾兩每年利參拾九兩作米十三石次

東萊錢壹百五兩

寧海錢壹百五兩

仁同錢壹百五兩

巨濟錢壹百五兩

善山錢壹百五兩

河東錢壹百五兩

玄風錢壹百五兩

新寜錢壹百五兩

慈仁錢壹百五兩

昌寧錢壹百五兩

開寧錢壹百五兩

靈山錢壹百五兩

高靈錢壹百五兩

梁山錢壹百五兩

熊川錢壹百五兩

盈德錢壹百五兩

機張錢壹百五兩

昆陽錢壹百五兩

固城錢壹百五兩

南海錢壹百五兩

三嘉錢壹百五兩

河陽錢壹百五兩

比安錢壹百五兩

草溪錢壹百五兩

金山錢壹百五兩

咸昌錢壹百五兩

安義錢壹百五兩

淸道錢壹百五兩

咸陽錢壹百五兩

淸河錢壹百五兩

山淸錢壹百五兩

丹城錢壹百五兩

鎭海錢壹百五兩

漆谷錢壹百五兩

英陽錢壹百五兩

榮州錢壹百五兩

慶山錢壹百五兩

延日錢壹百五兩

軍威錢壹百五兩

義興錢壹百五兩

知禮錢壹百五兩

長鬐錢壹百五兩

彦陽錢壹百五兩

靑松錢壹百五兩

龍宮錢壹百五兩

順興錢壹百五兩

豐基錢壹百五兩

咸安錢壹百五兩

有峴錢壹百五兩

漆原錢壹百五兩

禮安錢壹百五兩

眞寶錢壹百五兩

開慶錢壹百五兩

奉化錢壹百五兩

以上五十四邑每年利參拾壹兩五錢

作米作穀取殖排年利條式千四百六十兩甲午冬心禾八百二十石

乙未還分米八百二十石甲午條

耗八十二石

加入八百二十石

丙申還分米壹千七百二十二石

耗一百七十二石三斗

加入八百二十石

丁酉還分米貳千七百十四石三斗

耗二百七十一石六斗三升

加入八百二十石

戊戌還分米參千八百五石九斗三升

耗三百八十石八斗四升三合

加入八百二十石

己亥還分米五千六石二斗七升三合

耗五百石九斗二升七合三勺

加入八百二十石

庚子還分米六千三百二十六石二斗三勺

耗六百三十二石十斗二升

加入八百二十石

辛丑還分米七千七百七十九石七斗二升三勺

耗七百七十七石十四斗二升二合

加入八百二十石

壬寅還分米九千三百七十七石六斗四升二合二勺

耗九百三十七石十一斗一升四合二勺

加入八百二十石

癸卯還分米一萬一千一百三十五石二斗五升六合五勺

耗一千一百十三石七斗七升五合六勺

 

癸卯爲始消給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 달성 근황(達城近況) 1 file 서성태 2018.11.24 485
14 달성서씨대종회 대동보 편찬에 관한 규약 서성태 2018.12.06 325
13 구암서원 강학 사료(史料) 1 file 서성태 2019.03.17 419
12 대구팔경시집(大邱八景詩集) 1 file 서성태 2019.03.22 403
11 왕실족보(王室族譜)로 살펴 본 달성서씨/대구서씨 file 서일수371 2019.04.19 1827
10 완문(完文) file 서석훈98 2019.08.14 251
9 관향(貫鄕)으로 사용되는 옛 지명(地名) 정리 서일수371 2017.10.17 523
8 유건(儒巾) 만드는 방법과 유건에 담긴 뜻 file 서성태 2020.01.26 653
7 대구의 옛 지명(地名) 서성태 2020.11.30 817
6 구계 서침 선생에 관한 대구읍지의 기록 서성태 2020.12.18 258
5 여지승람輿地勝覽과 읍지邑誌 서성태 2020.12.19 170
4 구암서원 서성태 2020.12.19 298
» 대구부 감모절목大丘府減耗節目( 본 감모절목의 원본은 고 서경보 영남대 명예교수께서 생존시에 소장하고 있었습니다) 서성태 2021.02.13 311
2 徐씨와 대구大丘달성達城 徐聖泰213 2021.09.24 621
1 달성서씨 가문의 명당 삼절. 1 file 徐聖泰213 2023.09.24 623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